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129)
인디게임 마케팅 강연을 듣고 왔습니다. 11.09.29(수) 수업 중간에 나가서 서울까지 머나먼을 여행을 떠났습니다.(중간에 착각해서 신논현에서 역삼까지 걸어가서 늦었습니다 ;;) 인증샷 강연실인 tnh미디어 사무실 일단 강연은 1교시 피그민님의 인디게임 마케팅강연과 2교시 터틀크림팀의 공모전을 통한 마케팅 강연으로 이루어졌습니다. 1교시는 일단 전 피그민의 블로그에서 이미 본 내용인지라 특별한 것 없었지만, 더 자세한 이야기와 왜 중요한지에 대해서 더 자세하게 듣게 되었습니다. 2교시는 처음 듣는 이야기였는데요. IGF 차이나 2011의 상을 탄 경험을 통해서 공모전에 입상 시에 얼마나 좋은지에 대한 이야기를 해주면서 해외 공모전에 대한 중요성이 자연스럽게 나오도록 하였습니다. 좀 더 자세히 이야기 하자면 게임을 홍보하는 수단에 대해서 이야..
방송을 시작합니다. 새로운 도전을 합니다. 학교 내 동아리에서 운영하는 스터디그룹인 FSG발표를 아프리카를 통해서 방송합니다. 이번 계기를 통해서 현장에 올 수 없거나 일반 사람들과 커뮤니케이션을 하는 계기가 되었으면 합니다. 현업에 계신 선배님들, 일반 분들의 의견을 들을 수도 있고 동영상으로 저장되서 나중에 보면서 자신에 대한 피드백을 할 수 있다고 생각이 되서 합니다. 9월 26일(월) 7:30 즈음에 시작합니다. 주제는 게임개발자여! 자긍심을 가져라!입니다. http://afreeca.com/hucce
MS 윈도8 기조연설 지금 시청하면서 글을 씁니다. 일단 지금 시청하자마자 본 것은 win7 404MB와 32프로세스에서 281MB와 29프로세스를 사용하여 더 가벼워짐 지금 새로운 UI(ARM지원에 맞춘, 윈폰과 같은)을 시연 이후 게임(단어선택게임), 웹서핑, 비디오, 사진 등의 앱을 시연 일단 여기까진 아는 내용이 나오고 있기 때문에 뭔가 새로운 내용이 없음 ㅠㅠ 그리고 새로운 UI에 맞는 앱은 데스크탑에서 구동되는 앱과는 다른 개념이며 새로운 API(WinRT APIs)라고 소개 이건 메트로스타일이라고 되어 있음 그리고 다양한 언어를 지원한다고 함 윈도우 앱스토어에 대한 이야기 중 VS11등장 코딩중... ;;; 실행하니 메트로스타일앱이 구동 앱을 만드는 방법에 대해서 이야기 중이며, 비주얼 적인 것들도 VS에서 수정..
만약 고교야구 여자메니저가 피터드러커를 읽는다면 만약고교야구여자매니저가피터드러커를읽는다면 카테고리 소설 > 일본소설 지은이 이와사키 나쓰미 (동아일보사, 2011년) 상세보기 본인이 자주가는 일명 일빠웹에서 올해 초에 자주 언급이 되던 책인데, 트위터에서 몇몇 개발자 분들이 좋은 책이라는 이야기가 들려와서, 본인도 한번 읽어 보려고 마음을 먹던차에 학기초라서 교과서를 사는김에 같이 샀습니다. 결과부터 말씀드리면 추천!이라고 말하고 싶네요 일단 지금 제가 프로젝트의 팀장으로 관리하는 프로젝트가 2개에다가 듣고 있는 수업이 게임프로듀싱, 콘텐츠 메니지먼트, 영상기획 같이 관리쪽에 2학기에 약간 초점이 맞춰져지고 있는 시점에서 이와 같은 책을 읽게 되었다는게 좀 재미있는 일이었습니다. 일단 소설과 기능성 책을 합쳐서 재미있게 풀어 냈다는 점이 흥미로웠는데,..
드디어 마당을 나온 암탉을 봤습니다. 마당을 나온 암탉 감독 오성윤 (2011 / 한국) 출연 문소리,유승호,최민식,박철민 상세보기 오래전 부터 극장에서 보고 싶던 영화가 둘 있었는데 그게 이 마당을 나온 암탉이랑, 혹성탈출이었다. (혹탈은 보기 힘들 것 같다. 상영관이 너무 줄었다) 암탉이 이번 추석을 계기로 해서 상영관이 많이 늘어서 드디어 보게 되었는데, 역시 후회가 없는 작품이었다. 일단 논란이 된 성우를 보면 생각보다 괜찮다. 정말로 나쁘지 않다. 특히 수달의 박철민은 정말 최고의 캐스팅이었다 반대로 성우였다면 재미없었겠다라고 생각될 정도 였다. 최민식은 일단 뭐 별로 대사가 적지만 성우라고 생각될 정도로 좋았다. 다만 좀 안타까운 것은 문소리와 유승호인다. 나쁘지 않지만 몇몇 부분에서 좀 그렇다.(하지만 문소리의 정말 엄마같은 목..
게임중독 예방 방안 최근 게임중독에 대한 많은 이야기가 나오며 사회문제로 대두가 되고 있다. 그리고 셧다운제와 같은 법적인 움직임도 나오고 있다. 1. 게임 중독문제 해외는? 일단 게임중독문제가 당연히 우리나라에서만 나온 것이 아닐 것이다. 이건 당연한 것이 우리나라가 게임 강대국이 된 것은 맞지만 게임 선진국인 미국, 일본에 비하면 낮은 수준인 것이 사실이다. 그럼 기존의 해외 사례에서 해결책을 찾을 수 있지 않을까? 가장 좋은 사례로 미국의 사례를 살펴보면 실제로 소송의 나라인 미국에서 WOW중독으로 인생을 망쳤다는 사람이 블리자드에 소송을 건 사례가 있다. 하지만 미국에서는 WOW가 사회적현상을 불러일으킬 정도로 큰 사회적파장을 일으킨 게임이지만 블리자드의 손을 들어줬다. 즉 중독의 책임이 게임에 있는 것이 아니고 개..
대한민국의 미래는 밝다! 여기 있는 이야기는 전부 다 본인의 생각임을 밝히며 문제시 자삭하겠습니다. 1. 우리나라의 위기 하지만 희망은 있다. 역사적인 흐름만 보더라도 이번이 우리나라에 있어서 얼마나 큰 고비인지 눈에 보인다고 할 수 있다. 마치 IMF를 넘어선 듯 하지만 실상은 IMF 이후 도출된 문제점 들은 10년이 넘은 지금도 우리나라를 괴롭히고 있다. 청년실업문제, 저출산, 고령화, 양극화 등등 그리하여 이러한 사회적인 사태를 보면서 대한민국의 미래가 매우 어둡다라고 말하는 사람들이 많다. 하지만 본인은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다.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일단 빌게이츠의 말을 인용하자면 우리가 지금까지 걱정해왔던 수많은 일들이 결과적으론 잘 풀렸다는 것이다. 우리나라는 그 수많은 위기 속에서도 반만년의 역사를 지켜왔다...
페이스북 하락에 대한 나의 생각 최근 포브스 지에 따르면 페이스북의 가치가 전망치 보다 하락했다고 한다. 역시 IT업계인 만큼 정말 빠르게 진행된다는 느낌을 받게된다. (페이스북이 나온 것도 이렇게 인기를 끌게 된것도 모두 다 최근 일이다.) 본인은 페이스북의 가치하락의 원인을 다음으로 꼽고 있다. 1. 징가의 소셜게임 점령으로 인한 소셜게임업계가 다른 플렛폼을 찾고 있으며, 소셜게임 자체도 레드오션화 되어 대기업들이 서서히 등장 중(메이플, 심즈 등) 2. 구글+의 무서운 성장세와 소셜게임 런칭시작 3. 이번 게임스컴에서 나왔다 시피 많은 업체들이 구글+ 소셜게임에 진출을 선언하며 관심을 나타내고 있음 4. 구글+는 크롬처럼 구글 서비스에 특화되어 나오기 용이함으로 미래에 성장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생각 5. SNS 자체가 팽창해서 급..